시간이 없는 관계로 문제 풀이로 대체한다..!!!! 😭😭
1. 라우터와 스위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라우터 | 스위치 | |
유사점 | 포워딩 테이블이 존재한다. | |
차이점 | IP 주소로 포워딩하는 네트워크 계층 | MAC 주소로 포워딩하는 링크 계층 |
IP와 MAC 주소를 가진다. | 주소 없이 투명하다. | |
네트워크 관리자의 관리가 필요하다. | self-learning으로 이루어진다. | |
계층구조 | 평면 구조 |
2. 스위치의 4가지 기능을 나열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self-learning
1. 스위치 테이블은 초기에 비어있다.
2. 인터페이스로 수신(A->A')한 각 프레임에 대해 스위치는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 필드에 있는 MAC 주소 / 프레임이 도착한 인터페이스 / 현재 시간 을 저장한다.
3. 일정시간(aging time)이 지난 후에도 스위치가 해당 주소를 출발지 노드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이 주소를 삭제한다. - forwarding
프레임이 전송될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프레임을 해당 인터페이스로 내보내는 과정 - filtering
프레임을 인터페이스로 전달할지 혹은 폐기할지 결정한다. - flooding
A->A'로 프레임을 보낸다.
A'로의 경로를 모르므로 스위치와 연결된 모든 링크로 브로드캐스트한다.
3. 스위치 연결 방식에 있어 BUS 나 Hub-based-Link에 비해 스위치를 사용할 때의 장점?
충돌을 제거해 주므로 performance 향상, 이기종 링크 구성 가능, Sniffing 등 해킹에 강함
3. 다중 접속 프로토콜의 여러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Ethernet은 이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설명하시오.
- 채널 분할 프로토콜: TDMA, FDMA, CDMA 시간을 분할하는 방식과 주파수를 분할하여 패킷에게 할당
- 랜덤 접속 프로토콜 : ALOHA, CSMA/CD 재전송을 즉시하는 것이 아니라 랜덤 시간 동안 기다린 후 재전송
- 순번 프로토콜: taking-turn protocol 폴링, 토큰 전달 프로토콜로 나뉜다.
Ethernet은 CSMA/CD에 해당한다. CSMA/C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어댑터는 언제든지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타임슬롯이 사용되지 않는다.
- 어댑터는 다른 어댑터가 전송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면 결코 전송을 하지 않는다. -> 캐리어 감지
- 송신 어댑터는 다른 어댑터가 전송하는 것을 검출(발견!)하면 자신의 전송을 중단한다. -> 충돌 검출
- 어댑터는 재전송 시도 전에 임의의 시간을 기다린다.
4. Ethernet에서 사용되는 Binary Exponential Backoff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라.
프레임을 전송할 때, 이 프레임에 대해 연속적으로 n번째 충돌을 경험한 후 어댑터는 {0, 1, 2, ... 2^m-1} 로부터 임의의 K값을 택한다. 그 뒤 어댑터는 K*512 비트 시간을 기다렸다가 다시 프레임 전송을 시작한다.
<통신에 쓰이는 여러 테이블>
스위치 forwarding 테이블
주소 | 인터페이스 | 시간 |
12:34:56:78:90:AB | 1 | 9:38 |
00-10-fa-c2-bf-d5 | 2 | 9:20 |
ARP 테이블 (IP (집주소로 비유) ---- ARP Table ------ MAC(주민등록번호) )
IP 주소 | MAC 주소 | 시간 |
222.222.222.221 | 12:34:56:78:90:AB | 13:45:00 |
라우팅 테이블
MPLS ( 패킷의 IP 주소를 고려하지 않고 레이블을 기반으로 스위칭하는 특징이 있다. ) 테이블
IP는 only destination만 고려하는 반면 MPLS는 source 와 destination 모두를 고려한다.
입력 레이블 | 출력 레이블 | 목적지 | 출력 인터페이스 | |
R3 | 10 | 6 | A | 1 |
R1 | 6 | - | A | 0 |
그렇다면 아래의 상황을 보자.
A~F는 호스트, 중간에는 스위치, R은 라우터를 의미한다.
1. 호스트 A -> 호스트 C로 데이터그램이 Link Layer를 통해 전송될 때, 호스트 A의 ARP 테이블의 변화 과정
※ 같은 서브넷의 다른 IP로 가는 데이터그램
① 먼저 A는 ARP 패킷(송신/수신 IP, MAC 주소 필드) 을 하나 만든다.
② 서브넷의 다른 모든 패킷에 질의하기 위해 어댑터에 전달한다. FF:FF:FF:FF:FF:FF로 패킷을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트)
③ 어댑터는 ARP 패킷을 링크 계층의 프레임에 캡슐화하고, 이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로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이용해 프레임을 서브넷으로 전송한다.
④ 각 어댑터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인해 프레임에 있는 ARP 패킷을 자신의 ARP 모듈로 전달한다.
⑤ 각 노드는 자신의 IP 주소가 ARP 속 목적지 IP 주소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⑥ 일치하면 요구된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ARP 패킷을 질의한 노드로 돌려보낸다.
⑦ 질의 노드는 자신의 ARP 테이블을 갱신하고 자신의 IP datagram을 링크 계층 프레임으로 캡슐화하여 전달한다.
2. 호스트 A(서브넷1) -> 호스트 D(서브넷2) 로 데이터그램이 Link Layer를 통해 전송될 때, 호스트 A의 ARP 테이블의 변화 과정
※ 다른 서브넷의 IP로 가는 데이터그램
① 데이터그램을 라우터(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② 송신 어댑터는 프레임을 만들어 서브넷 1로 전송한다. 출발지 호스트에서 IP 데이터그램을 라우터로 전달한다.
③ 라우터에서 목적지(서브넷 2)로 전달될 정확한 인터페이스를 정하기 위해 라우터의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한다.
④ 포워딩 테이블은 라우터에게 데이터그램을 라우터 인터페이스 D를 거치도록 지시한다.
⑤ 인터페이스(라우터)는 데이터를 자신의 어댑터로 전달하고 어댑터는 데이터그램을 새 프레임에 캡슐화하여 그 프레임을 서브넷 2로 전송한다.
⑥ 이후 ARP로 목적지 MAC 주소를 얻어 보낸다.
같은 서브넷인지 다른 서브넷인지는 subnet mask를 통해 알 수 있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패킷 이동 경로 파헤치기 (2) | 2024.02.19 |
---|---|
[네트워크] Network Layer : 제어 평면 (1) | 2023.06.18 |
[네트워크] Network Layer : 데이터 평면 (0) | 2023.06.13 |
[네트워크] 혼잡 제어 (0) | 2023.04.23 |
[네트워크] 트랜스포트 계층 -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RDT)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