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etricbeat
- curl
- DI
- kong
- jwt-java
- 파이썬
- ELK
- 메소드
- supabase
- fosslight
- 화자분리
- umc
- 자료구조
- konga
- template/callback
- C++
- prometeus
- OpenSource
- java
- mybatis
- Spring
- elastic search
- monitoring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docker
- Nice
- API Gateway
- devops
- pyannote
- roll over
- Today
- Total
목록CS/네트워크 (13)
youngseo's TECH blog

평소 모호하게 이해하고 있던 패킷의 이동 경로에 대해 이번 스터디에서 함께 이야기해보기로 했다. 대체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어디를 통해, 어떤 모습으로 이동하기에 우리가 여러 외국 사이트들도 문제 없이 빠르게 볼 수 있는 것인지! 알아보자.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이동 과정을 OSI 7계층을 응용하여 전체적으로 이해해 보았다. 패킷의 이동 과정 패킷의 이동과정은 전반적으로 이렇다. Source host 가 나의 컴퓨터라고 하고, Destination host는 내 친구의 컴퓨터, 또는 www.google.com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www.google.com은 DNS를 통해 IP 주소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신 방법은 동일하다. [DNS 에 대한 개념 먼저 살펴보기] A 컴퓨터(source ..

시간이 없는 관계로 문제 풀이로 대체한다..!!!! 😭😭 1. 라우터와 스위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라우터 스위치 유사점 포워딩 테이블이 존재한다. 차이점 IP 주소로 포워딩하는 네트워크 계층 MAC 주소로 포워딩하는 링크 계층 IP와 MAC 주소를 가진다. 주소 없이 투명하다. 네트워크 관리자의 관리가 필요하다. self-learning으로 이루어진다. 계층구조 평면 구조 2. 스위치의 4가지 기능을 나열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self-learning 1. 스위치 테이블은 초기에 비어있다. 2. 인터페이스로 수신(A->A')한 각 프레임에 대해 스위치는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 필드에 있는 MAC 주소 / 프레임이 도착한 인터페이스 / 현재 시간 을 저장한다. 3. 일정시간(aging t..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2. 라우팅 알고리즘 컨트롤러로 가는 중요한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다. flow-removed(플로우 제거) : 컨트롤러에게 어떤 플로우 테이블 엔트리가 시간이 만료되었거나 상태 수정 메시지를 수신한 결과로 삭제되었음을 알린다. packet-in(패킷 전달): 패킷을 컨트롤러에 보낸다. port-status(포트 상태): 포트의 상태변화 알린다. 4. SDN 컨트롤러 시나리오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목차1. 네트워크 계층 개요 1) 포워딩과 라우팅 2) 네트워크 서비스 모델 3) connection, connection-less service2. VC와 datagram networks 1) VC 2) datagram networks 3) VC vs datagram networks3. 라우터 내부에는 무엇이 있을까? 1) 라우터 내부 알아보기 2) 입력포트 3) 스위칭 구조 4) 출력포트4. 인터넷 프로토콜(IP): IPv4, 주소 지정, IPv6 등 1) IPv4 데이터그램 형식 2) IPv4 데이터그램 단편화 3) IPv4 주소체계 4) DHCP 5) 네트워크 ..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혼잡제어의 원인과 비용 1) 시나리오1: 두 개의 송신자와 무한 버퍼를 가지는 하나의 라우터 2) 시나리오2: 두 개의 송신자, 유한 버퍼를 가지는 하나의 라우터 3) 시나리오 3: 네 개의 송신자와 유한 버퍼를 가지는 라우터, 그리고 멀티홉 경로 2. 혼잡제어에 대한 접근법 1) 종단간의 혼잡제어 2) 네트워크 지원 혼잡제어 3. 혼잡제어의 여러 사례 1) ATM ABR 2) RM 4. TCP 혼잡제어 1) TCP의 알고리즘 2) AIMD 3) Slow Start 4) TimeOut 5) Fast Recovery 5. TCP 공정성 1. 혼잡제어의 원인과 비용 1.1 시나리오1: ..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TCP/UDP에 이어 이번에는 RDT(reliable data transfer)에 대해 알아보자! 과정이 조금 복잡할 수 있다목차1. rdt의 원리2. rdt 1.0: 오류 없는 채널에서의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1) 송신/수신 방법 - event, action3. rdt 2.0: 비트 오류가 있는 채널상에서의 신뢰적 데이터 전송 1) 송신/수신 방법 - ACK, NAK 2) rdt 2.0의 치명적 결점 3) rdt 2.1: sequence number로 구분하여 전송 4) rdt 2.2: sequence number로 구분하여 전송+a NAK-free protocol4. rdt 3.0:..

오늘은 TCP와 UDP에 대해 알아보자!TCP UDP는 TCP/IP 프로토콜 모델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 전송(트랜스포트)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재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들 간의 논리적 통신(logical communication)을 제공한다.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비연결형,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 UDP는 최소한의 오버헤드만 사용하는 매우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작은 메시지를 보내거나 또한 신뢰성을 고려하지 않는 프로세스는 UDP를 사용할 수 있다. UDP를 사용하여 작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TCP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상호 대화가 훨씬 적다. handshaking이 일어나지 않으며, congestion control..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1. P2P 1) P2P란? 2) P2P 파일 분배 3) P2P 구조의 확장성 4) 비트토렌토 5) 비트토렌토의 구조 및 소통방식 2. Video Streaming과 CDN(content distribution networks) 1) Multimedia: video 2) Streaming stored video 3) DASH 4) CDN 1. P2P 1.1 P2P란? 항상 켜져있는 기반 구조 서버들에 최소한으로 의존하는 구조이다. 누구나 서버/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고,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1.2 P2P 파일분배 클라이언트-서버 파일분배에서, 서버는 파일 복사본을 각 피어들에게 보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