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onitoring
- java
- metricbeat
- DI
- devops
- API Gateway
- Spring
- ELK
- supabase
- Nice
- pyannote
- 자료구조
- konga
- jwt-java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umc
- 메소드
- roll over
- prometeus
- 화자분리
- template/callback
- C++
- 파이썬
- OpenSource
- kong
- docker
- elastic search
- curl
- mybatis
- fossligh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template/callback (1)
youngseo's TECH blog

다음은 토비의 스프링 3.4 컨텍스트와 DI ~ 3.5장 3템플릿과 콜백 을 공부하고 정리하였습니다. DI에 대해 다시 복습하자 ! 1. 그림으로 표현해본다면? Pencil 객체와 Store 객체가 있다. 이 때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문장으로 표현된다. A가 B를 사용한다. A가 B에 의존성이 있다. A-store / B-pencil DI 가 아닌 코드를 먼저 보자. public class Store { private Pencil pencil; public Store() { this.pencil = new Pencil(); } } Store 객체 안에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한다. DI 인 코드 public class Store { private final Pencil pencil; public S..
BackEnd/JAVA\SPRING
2023. 9. 22.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