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료구조
- template/callback
- java
- pyannote
- kong
- DI
- konga
- 화자분리
- Spring
- ELK
- prometeus
- curl
- API Gateway
- docker
- roll over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umc
- 파이썬
- fosslight
- OpenSource
- metricbeat
- C++
- elastic search
- mybatis
- monitoring
- devops
- Nice
- supabase
- 메소드
- jwt-java
- Today
- Total
목록BackEnd/JAVA\SPRING (22)
youngseo's TECH blog

Spring Security는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증/권한 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이를 활용해서 소셜 로그인(카카오, 애플)을 구현해보았다. 이 글에서는 우선 Spring Security로 JWT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한다. 일단 Spring Security는 그리 쉽지 않다.. 구현도 쉽지 않고, 찾아보니 이 쪽 영역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시간을 잡고 공부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공부방향을 코드에 대한 대략적인 JWT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내가 나중에 확실히 또 써먹을 수 있도록 공부해보는 것으로 잡았다. 아래를 봐도 아주 복잡한 filter의 향연을 볼 수 있다 .. 인증 과정? Spring Security에서 JWT 인증 과정은 다음과 같다. d..

config>SecurityConfig에 다음 코드를 붙여놓는다. @Configuration @EnableSwagger2 public class SwaggerConfiguration { @Bean public Docket docket() { return new Docket(DocumentationType.SWAGGER_2) .useDefaultResponseMessages(false) .apiInfo(apiInfo()) .select() //모든 경로의 api를 사용한다. .apis(RequestHandlerSelectors.basePackage("com.example.umc3_teamproject")) .paths(PathSelectors.any()) .build() ; } private ApiInfo..

개요 일단 JWT에 대한 개념부터 알고가자!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로그인 인증 기능에서 사용하는 토큰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JWT를 구현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1. jwt-jav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JWT를 생성하고 파싱하는 방법 2. spring security 라이브러리 이용하기 이번에 로그인 로직을 짤 때 일반 로그인은 1번으로, 소셜 로그인은 2번 로직으로 짜게 되어 JWT와 많이 친해질 수 있었다. 이번 글은 1번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2번 방법(JWT+소셜로그인) 에 대한 설명은 이쪽에서 확인 가능하다. UMC 동아리에서 제공해준 템플릿 중 로그인 구현 방법 코드를 인용하였다. 아래 코드로 자세히 알아보자. service/JwtService.java ..

SPRING의 가장 강력한 점은 IOC, DI에 있다. DI란,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으로,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게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 @Bean 어노테이션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이 좋다. 우리는 @Bean을 만들어놓고 그 안에 방법2처럼 setter() 또는 생성자 등을 이용한다. 연결지어 Bean은 위 사진처럼 객체를 만들어서 활용하는 틀로 생각하면 좋다. Bean은 SingleTon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Spring Framework에서 딱 한 개가 만들어진다. 그래서 우리는 이 틀 안에서 특성 값을 '특정' 해놓으면 안된다. 그런 방법보다 값을 생성자 또는 setter로 '할당'하자. IoC(제어의 역전)은, SPRIN..

간단한 소개 아래 있는 내용을 구현하면 된다. 이 때 JAVA Convention, Commit Convention 등 지켜야 할 사항이 있다. 이번에 지켜보고 싶었던 사항들 1. 구현 전에 readme에 기능을 작성하고, 그에 맞춰서 commit해보기 2. 커밋 메시지를 자세히, 제대로 작성해보기 (읽어봤을 때 이해가 되도록) 3. 예외 사항(IllegalArgumentException) 또한 고려하며 기능목록을 작성하기 4. 주석처리 깔끔하게 해보기 5. refactoring 제대로 하여 반복되는 코드 없도록 하기 6. Test로 삼을 만한 더미 데이터 만들어보기 7. 일급콜렉션 적용시켜보기 위 내용으로 TDD 훈련해보기! TDD, 정의는 쉽고 체화는 참으로 어렵다. 정의는 쉽다. 테스트를 먼저 만들..

지원 내년엔 꼭 부트캠프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보고도 싶고, 구현해보고 싶은 서버 툴을 어떻게 짜야할지 감도 안 오는 수준에서 벗어나고 싶은 갈망이 컸다. 그래서 제일 먼저 모집하는 우테코를 지원해보기로 했고, 합격하지 않더라도 프리코스에서 많이 얻어갈 수 있다는 말에 솔깃해 지원하게 되었다. 10월 26일 (수) ~ 11월 22일(화)까지 4주간 일주일에 한 개씩 과제를 제출해야 하고, 제출했던 과제를 기반으로 12월 17일(토)에 코딩테스트 후 합격자를 발표한다. 1주차 과제 이번 우테코 1주차 과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진 않았으나, 양이 조금 많다. 아무래도 양 때문에 시간을 갈아넣는 희생은 감수해야 하는 것 같다. 알고리즘 문제 7문제를 풀고, 이 문제들을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