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upabase
- java
- 자료구조
- pyannote
- docker
- elastic search
- prometeus
- DI
- jwt-java
- Nice
- monitoring
- 화자분리
- C++
- devops
- OpenSource
- ELK
- roll over
- Spring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konga
- kong
- curl
- template/callback
- fosslight
- mybatis
- API Gateway
- 파이썬
- metricbeat
- umc
- 메소드
- Today
- Total
목록CS/네트워크 (13)
youngseo's TECH blog

1. DNS 1) DNS란? 2) DNS가 제공하는 서비스 3) 분산 시스템 4) 계층적으로 IP주소를 찾는 과정 5) DNS 질의(name resolution) 6) DNS 캐싱 7) DNS 레코드 8) DNS 메시지 9) DNS 데이터베이스에 레코드 삽입 10) DNS 공격 1. DNS 1.1 DNS란? 사람은 주민등록번호로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호스트는 DNS를 통해서 식별할 수 있다. 호스트를 식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ex. hostname(cnn.com, www.yahoo.com), IP 주소 (121.7.106) (1) DNS 서버들의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고, (2) 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1.2..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FTP 1) FTP란? 2) FTP와 HTTP 비교 3) FTP 명령어 - 참고 4) Active Mode vs Passive Mode 2. electronic mail 1) SMTP 2) POP3 3) IMAP 1. FTP 1.1 FTP란? FTP는 HTTP와 맥락이 비슷한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두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약이지만,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1.2 FTP와 HTTP 비교 1. 둘 모두 TCP에서 동작한다. 2. 응답 메시지가 존재한다(HTTP에서의 200, 404 응답). 하지만 형식은 다르다 1. FTP는 일반적으로 파..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원리 1) P2P와 Client-Server 2) Socket 3) 애플리케이션이 이용가능한 트랜스포트 서비스 (4가지 요소) 2. 웹과 HTTP 1) HTTP 개요 2) 비연속 연결과 지속 연결 3) HTTP 메시지 포맷 4) 사용자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 : 쿠키 5) 웹 캐싱 6) 조건부 GET 1.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원리 1.1 Client-Server와 P2P 쉽게 예시로 설명하자면, Client-Server는 교수님과 우리의 관계, P2P는 팀플할 때 팀원 간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교수님은 우리의 질문을 항상 받을 준비를 하고 계신다. Cli..

본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를 읽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2) 서비스로 본 인터넷 3)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2.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1) 클라이언트와 서버 프로그램 2) 접속 네트워크 3) 물리 매체 3. 네트워크 코어 1)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2) Routing과 Forwarding 에필로그 저번에 카페에 갔다가 넘 귀여운 코알라를 발견했다! 귀여워.. 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은 한 문장으로 간결한 정의를 하기 쉽지 않다. 인터넷이 제공하는 서비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모든 요소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은 너무나 복잡하다. 따라서 아래에서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한다. 1️⃣..

먼저 이 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패킷, 그리고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패킷? 패킷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을 통해 주고받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프로토콜? 교수님 말씀에 의하면 "아, 나는 그 사람과 프로토콜이 좀 안 통해" 라는 말을 자주 쓴다고 한다.(..?) 암튼 프로토콜이란 서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약속을 말하며, 일종의 통신 규약이다. 프로토콜에는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들어간다. 구문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ex. 서브넷 마스크 의미 -- 비트들의 영역별 의미 타이밍 --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지, 얼마나 빨리 전송할지? OSI 모델에서 계층구조, 계층 간 인터페이스, 각 계층의 기능 OSI 모델의 가장 큰 특징은 기능들이 구분되어 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