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osslight
- template/callback
- metricbeat
- Spring
- Nice
- 화자분리
- curl
- C++
- devops
- konga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OpenSource
- ELK
- API Gateway
- jwt-java
- 메소드
- 자료구조
- mybatis
- DI
- java
- docker
- monitoring
- pyannote
- supabase
- kong
- umc
- prometeus
- roll over
- 파이썬
- elastic search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2)
youngseo's TECH blog
대뜸 다음 코드에서 값이 어떻게 나올지 예상해 보자. def spam(eggs): eggs.append(1) eggs=[2,3] ham=[0] spam(ham) print(ham) 그래, 배열은 메모리 주소값을 할당하는 거라고 했고, 함수 spam에 인수로 넣은 ham이 eggs가 되는 격이니까 답은 [2,3]! 이라고 했다면... ㅎㅎ이 글을 보게 된 것이 다행이다!! spam에 함수의 parameter는 eggs이다. 따라서 우리가 ham을 spam에 넣어준 동시에 함수의 parameter eggs는 ham 자체가 된다. 3행에서 eggs는 새로운 리스트를 만드는 코드이다. 그래서 이 경우, 더는 ham과 eggs와 같은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지 않고 eggs는 자신만의 메모리 주소를 가지게 된다. 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s4zK/btrEuy580l2/pV6U00WHutkb8He3F7bM0K/img.png)
먼저 python list의 메모리 관리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python에서 연산자 중에 '=='는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이고, 'is'는 메모리의 주소를 비교하는 연산이다. 아래 코드를 보자.a=300 b=300 a is b #False a == b #True그런데 조금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a = 1 b = 1 a is b #True a == b #True엥? 이 때는 a와 b의 메모리 주소가 같은 걸까?? 이것은 파이썬의 정수형 저장 방식의 특성 때문인데, -5부터 256까지의 정수값은 특정 메모리 주소에 저장한 후 해당 숫자를 할당하려고 하면 해당 변수는 그 숫자가 가진 메모리 주소로 연결한다. 리스트가 위와 같은 메모리 저장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파이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