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ice
- konga
- kong
- ELK
- DI
- jwt-java
- monitoring
- umc
- 파이썬
- elastic search
- docker
- devops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metricbeat
- C++
- fosslight
- 메소드
- 자료구조
- supabase
- OpenSource
- roll over
- mybatis
- template/callback
- 화자분리
- Spring
- API Gateway
- curl
- java
- pyannote
- prometeu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0)
youngseo's TECH blog

문제 상황 회사에서는 상담 센터에서 수많은 양의 상담 전화를 받고 있다. 이 상담 전화를 STT whisper로 받아 프로그램을 돌리고 있는데, 사실상 이 서비스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밤새 돌려놓으면 2000건 까지는 돌릴 수 있으나 그 이상의 데이터(4000건 까지 들어옴)를 돌리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음 whisper 에 화자분리는 지원이 되지 않아 해당 script의 화자 파악에 어려움이 있음✔️ 통화 음질이 아주 나빠서 정확도가 너무 떨어짐✔️ 이 STT 자료들을 조금 더 의미있게 사용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상담원 A와 상담원 B의 언어적 특징이나, 상담원들이 많이 사용하는 단어들을 추출한다거나 등 등 .. 내가 해볼 수 있는 기술적 영역에서 해결해볼 수 있는 것들? Kafka 등을 이용..

다음은 토비의 스프링 3.4 컨텍스트와 DI ~ 3.5장 3템플릿과 콜백 을 공부하고 정리하였습니다. DI에 대해 다시 복습하자 ! 1. 그림으로 표현해본다면? Pencil 객체와 Store 객체가 있다. 이 때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문장으로 표현된다. A가 B를 사용한다. A가 B에 의존성이 있다. A-store / B-pencil DI 가 아닌 코드를 먼저 보자. public class Store { private Pencil pencil; public Store() { this.pencil = new Pencil(); } } Store 객체 안에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한다. DI 인 코드 public class Store { private final Pencil pencil; public S..

개요 Elastic Observability로 NVIDIA GPU 메트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을 참고하여 작업하였습니다. 해당 서버는 Linux에서 NVIDIA CUDA가 설치되어 GPU가 세팅되어 있는 환경이다. 해당 GPU가 얼마만큼 사용되는지 nvidia-smi 명령어를 사용하면 알 수 있지만, cmd 창에서 일일히 확인하지 않고 kibana 등을 이용하여 시각화하기 위해서 GPU 성능 모니터링 ELK 를 탑재하였다 ! DCGM DCGM (Data Center GPU Management) 툴은 NVIDIA GPU의 성능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GPU의 온도, 전력 소비, 메모리 사용량, 그래픽 작업 부하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툴이다. GPU와 관련한 데이터는 metric..

해당 작업은 elastic metricbeat docker module 과 Docker Performance Monitoring with Metricbeat and ELK Stack (사진 출처) 을 참고하여 작업하였습니다. 개요 Linux에 ELK Stack(Metricbeat) 를 세팅하여 dashboard에서 확인하는 과정은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다. ELK metricbeat는 Docker container 들에서 metric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모듈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아래의 다른 모듈들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데, ./metricbeat-7.12.1-linux-x86_64(다운로드 경로)/modules.d 경로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activemq.yml.disabled docker...

아래 글은 토비의 스프링을 읽고 공부하였습니다. 목차 1. DI란 1) 의존관계 2) 모델링 시점의 의존관계 vs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 3) 제3의 존재 4) 의존관계 검색과 주입 5) 의존관계 주입 방법 3가지 2. XML을 이용한 DI 1) DI 설정정보를 만드는 XML 2) XML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와 Datasource 1. DI DI는 의존관계 주입으로, IoC와 동떨어진 개념은 아니다. DI는 오브젝트 레퍼런스를 외부로부터 제공(주입)받고 이를 통해 여타 오브젝트와 동적으로 의존관계가 만들어지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가 보통 알고있는 가장 대표적인 DI는 @Autowired 어노테이션일 것이다. 1. 의존관계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하는 방식이다...

아래 글은 토비의 스프링을 읽고 공부하였습니다. 목차 1. IoC란 1) 팩토리 2) IOC(제어의 역전) 3)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2. 스프링의 IoC 1) Bean과 Bean Factory 2)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와 동작방식 3)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와 object factory의 차이점 3. 싱글톤 1) 싱글톤으로 만드는 이유 2) 싱글톤 패턴의 한계 3) 싱글톤 레지스트리 4) 싱글톤 사용 시 주의할 점 1. 오브젝트 팩토리 1. 팩토리 앞에서 우리는 UserDaoTest에 DB 연결에 대한 책임(ConnectionMaker 구현 클래스)을 던져버렸다. 이번에는 이 책임을 DaoFactory로 분리해보자. public class DaoFactory { public UserDao u..

아래 글은 토비의 스프링을 읽고 공부하였습니다. 목차 1. DAO 1) DAO vs DTO 2) DAO-관심사의 분리 2. DAO의 분리 1) 클래스의 분리 2) Interface의 도입 3) 관계설정 책임의 분리 2. 원칙과 패턴 1) 개방 폐쇄 원칙 2) 전략 패턴 1. DAO 1. DAO vs DTO DAO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우리가 개발할 때 많이 사용하는 DTO 개념과 비교해보자! DTO는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한 틀이라면,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DAO는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로, DB 접근에 대한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Service, Controller, Repository)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사실 지..

개요 회사의 빅데이터 장비 시스템( Linux+GPU+Docker ) 서버의 metric data를 쌓고 관리하기 위해 모니터링 툴을 도입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서버 내에 ES 에 클러스터 5개가 docker와 NVIDIA GPU를 사용하여 운영되고 있었고, ELK Stack(ES + Kibana + Logstash)를 이용해 Filebeat가 이미 운용되고 있는 환경이었다. 모니터링 기술 선택 고민 모니터링 기술로 크게 두 가지 스택을 논의하였다. 1. Grafana + Prometeus 2. MetricBeat(ELK) ✅ 두 스택을 비교하자면 프로메테우스+Grafana는 Metric data(서버의 상태를 측정한 항목이나 지표) 모니터링 및 시각화에, ELK 스택은 로그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