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osslight
- docker
- pyannote
- DI
- 화자분리
- konga
- umc
- metricbeat
- supabase
- java
- jwt-java
- 메소드
- API Gateway
- devops
- mybatis
- prometeus
- C++
- elastic search
- template/callback
- Spring
- 파이썬
- 자료구조
-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
- curl
- Nice
- monitoring
- kong
- OpenSource
- roll over
- ELK
- Today
- Total
목록회고 (10)
youngseo's TECH blog

이번 1~2월 약 8주에 걸쳐 UMC 프로젝트의 PM을 맡게 되었다. 프레젠테이션을 많이 했어야 했던 경험에서 착안한 아이디어로 4주간 앱 기획을 진행했다. 아무래도 창조적인 부분이 많아서 평소 주입식 공부를 주로 하던 나에게는 생각보다 쉽지 않은 영역이었다..😥 그래도 지금은 제 아이디어에 꽤나 자신감이 생겼는데, 사람들에게 조언을 많이 구했던 것이 아이디어를 정말 많이 디벨롭할 수 있었던 큰 요인이었던 것 같다! 이번 1탄은 앱 런칭 프로젝트 기획에서 길을 헤매고 있는 사람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나도 나중에 또 아이디어를 내거나 앱 런칭 기회가 올 수 있으니 잘 정리해 두기로 했다! 1.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 그 자체에 너무 부담갖지 말자. 그저 큰 사회문제를 작은 화면 안에 넣는 것일 뿐이다..

대회 참여 계기 올해 2번째로 KAUPC가 열렸고, 나는 이번이 첫 참여였다. 아무래도 KOALA에서 주최하는 대회이다 보니 막중한 책임을 가지고 이 대회에 임하게 되었다. 여름방학 때 알고리즘 공부를 진지하게 해야겠다 생각해서 친구들 약속을 싹 미뤘던 생각이 난다... 그만큼 제대로 준비했었다. 대회는 3인 1조로 문제를 푸는 것으로, 시간은 3시간이 주어졌고 문제는 9문제였다. 25팀(75명)이나 참여해서 사람들이 바글바글 있어서 조금 놀랐고 긴장했다.. 대회 준비 개인으로 준비- ‘알고리즘 유형별로 최소 10문제는 풀어봐야 그 유형을 알 수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주어진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좋은 문제들을 매일매일 1개씩 선별하여 풀어보았다. (DP,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누적합, 투포인터 등 )..